본문 바로가기
돈 버는 정책 정보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혜택 분석

by 정보커뮤니케이터 황박사 2023. 10. 31.
반응형

 

 

안녕하세요. 넘쳐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돈 되는 정보만을 모아서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낼수 있는 방법을 알려 드리는 황박사의 정보연구소입니다. 생애 첫 추택을 구입하는 경우 받을 수 있는 취득세 감면 혜택에 대해 조건/한도/서류/방법에 대해 분석해 보겠습니다.

 

취득세란?

  부동산 (주택 및 농지)등의 자산을 취득하는 경우 크게 3가지 종류인 취득세, 농어촌특별세, 지방교육세를 세금으로 내야 합니다. 이 중에서 취득세는 지방세의 일종으로서 부동산을 취특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신고 및 납부를 해야합니다. 취득세 계산 시 취득가액은 취득자가 신고한 가액으로 진행하며, 신고를 하지 않거나 시가표준액에 미달 되는 경우 시가표준액을 기분으로 취득세를 계산합니다.

 

첨부해드린 부동산계산기 사이트를 통해 각각 경우에 따른 취득세를 계산 하실 수 있습니다.

https://xn--989a00af8jnslv3dba.com/buy

 

부동산계산기

부동산계산기 DTI DSR LTV 등기수수료 법무사수수료 공인중개사 중개수수료 종합부동산세 재산세 양도소득세 공동명의 임대수익률 대출가능액

xn--989a00af8jnslv3dba.com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조건

 

- 2022년 6월 21일 이후 취득한 주택 (잔금 납부 기준) 

- 실거래가가 12억원 이하의 주택 (공시지가가 아닌 실거래가 기준)

- 본인 및 배우자 모두 주택 소유한 이력이 전혀 없는 경우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한도

 

- 2023년 3월 14일 ~ 2025년 12월 31일까지 

--> 200 만원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필요서류

 

1. 취득세 감면 신청서 : 시/군/구청에서 작성 (오프라인)

2. 무주택 가구 증명서 : 부동산원 (온라인)

3. 주민등록등본, 주민등록초본, 가족관계증명서 : 정부24 (온라인), 주민센터 (오프라인)

4. 등기부등본 : 대법원 인터넷 등기소 (온라인

5. 주택 매매 계약서 : 부동산 (오프라인)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신청 방법

 

- 시/군/구청 세무과에 직접 방문해 신청가능 

--> 온라인 신청 불가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추징 요건

 

- 취득 후 전입신고 및 상시거주

- 취득 90일 이내 다른 주택 취득 불가

- 취득 후 3년 이내 임대, 증여, 매도 불가 --> 실거주를 위한 취득인 경우 유용한 정책

 

 

황박사의 정보연구소는 좀 더 효율적으로 돈버는 정책 정보를 발빠르게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보커뮤니케이터 황박사는 정보를 사랑하고 연구하는 사람입니다.

Linkedin: https://kr.linkedin.com/in/chuljin-hwan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