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덜쓰는 정보

쉽게 하는 아파트셀프등기 | 국민주택채권매입확인증 발급방법

by 정보커뮤니케이터 황박사 2023. 9. 23.
반응형

 

 

 안녕하세요. 넘쳐나는 정보의 호수 속에서 돈 되는 정보만을 모아서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낼수 있는 방법을 알려 드리는 황박사의 정보연구소입니다. 돈을 모으는 가장 빠르고 쉬운 방법은 돈을 안쓸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입니다. 이렇게 쓰지 않고 모아지고 있는 돈을 우리는 #종잣돈이라 부르죠. 종잣돈을 모으기 위해 당장 할수 있는 일은 우리의 시간과 노력을 알뜰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럼 돈을 안쓰는 방법을 함께 해보시죠.

 

오늘은 #아파트셀프등기 준비 서류 중에서 가장 쉽고 빠르게 준비할 수 있지만, 모르면 반드시 법무사를 찾아가야 하는 #국민주택채권매입확인증 발급하는 방법을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간단하게 국민주택채권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죠!! 

 

국민주택채권 이란?

간단하게 말해 정부가 국민주택사업에 필요한 기금을 조성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국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등기를 신청할 때에는 국민주택채권을 의무적으로 매입하여야 합니다. 국민주택채권은 2가지 종류가 있는데 주택의 종류에 따라 선택해서 매입하시면 됩니다.

제1종 국민주택채권 (인·허가, 등기·등록, 건설공사도급계약)

「주택도시기금법」제8조 및 동법 시행령 제8조에서 정한 해당 면허·허가·인가를 받거나 등기·등록을 신청하는 자 또는 국가·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과 건설공사의 도급계약을 체결하는 자 등이 매입하는 채권입니다.

 

제2종 국민주택채권 (분양가상한제 적용주택)

공공택지내 국민주택규모 85제곱미터 초과 분양가상한제 주택을 공급받고자 하는 자가 매입해야 하는 채권입니다.


 

내용이 약간 복잡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등기 상황에서는 아래 내용을 전혀 알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정부가 기금을 조성하기 위해 뭔가를 하고 있고, 등기를 위해서 우리가 이걸 해야한다. 정도만 아시면 됩니다. 법무사를 찾아가시면 상당히 자세하게 설명해 주시는데, 이런 설명비용들이 다 수수료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최소한의 정보를 기반으로 최소한의 비용을 사용해, 최대한의 효과를 얻는게 목적"이니, 이정도로 하고 시작해보겠습니다. 전체적인 발급 순서를 스텝 별로 아래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한번 쓱 보시고, 글을 따라 함께 진행하시면 큰 문제 없이 #국민주택채원매입확인증을 발급 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주택채권매입확인증 발급순서 

1. 주택도시기금에서 매입할 아파트의 공동주택공시가격 열람

--> 매입할 아파트의 가격에 따라 채권 금액이 달라짐

--> KB부동산, 부동산114등의 시세와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주택도시기금에서 열람해야함

 

2. 은행사이트 방문해 국민주택채권 매입 후 즉시 판매

--> 채권을 보유 후 이득을 보는 경우도 있지만, 그 돈으로 나스닥 S&P500을 매입하는 것이 시간 대비 훨씬 효율적임

 

3. 국민주택채권매입확인증 출력 및 채권발행번호 확인

 


국민주택채권매입은 2가지 방법 즉 온라인, 오프라인으로 가능합니다. 만약 공인인증서가 사전에 준비되어 있다면 집에서 편하게 발급받으시면 되고, 은행 및 우체국이 가까운데 있다면 방문하여 국민주택채권을 매입 후 확인증 발급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사실이 있습니다. 은행 및 우체국에서 매입시 정확한 채권 매입 금액을 확인해 주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즉 반드시 공동주택공시가격을 확인 후 채권 매입 금액을 알려줘야 은행 및 우체국에서는 알려준 금액의 채권을 판매합니다. 혹시나 은행 및 우체국 관계자분 계시면 채권 금액까지 확인해 주는 서비스까지 제공해 주는 방향으로 건의를 해보시면 어떨까요?

 

어찌되었건 지금은 어쩔수 없으니 공동주택공시가격을 확인하러 가보겠습니다.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 사이트에 접속해줍니다.

 

1. 공동주택공시가격 확인

 

https://www.realtyprice.kr/notice/main/mainBody.htm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www.realtyprice.kr

 

첫번째 화면의 좌측 상단의 공동주택공시가격을 클릭합니다.

 

텍스트 검색으로 들어가 주소와 단지, 동, 호수를 선택하고 열람하기를 클릭합니다.

 

열람하기를 클릭하시면 바로 공동주택공시가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위의 경우를 예를 들면, 연꽃마을 401동 103호 라면 2021.1.1 공시기준 739,000,000원입니다.  이 금액을 메모장을 열어 적어놓습니다. 

이제 어려운 단계는 모두 끝났습니다. 공시가격을 확보 했으니 국민주택채권을 매입 후 매도하면 끝입니다. 

 

2. 국민주택채권매입 및 매도

 

 거의 모든 은행의 국민주택채권매입 및 매도 방법은 비슷하기 때문에 제가 주로 거래하고 있는 국민은행에서 발행하는 방법을 통해 연습해 보겠습니다. 서두에서 말씀드렸다시피 국민주택채권은 매입 후 매도하는 것이 수익성 부분에서 월등히 높기 때문에 은행에서도 매입 후 바로 매도를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돈 절약 포인트 

국민주택채권은 날짜에 따라 나의 부담금이 달라지기 때문에

반드시 부동산 등기 2주전부터 고객 부담금을 조회하면서

가장 낮은 부담금이 잡혔을때 매입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이 방법을 통해 필자의 경우 대략 3만원 정도 절약을 할 수 있었습니다. 

 

https://okbfex.kbstar.com/quics?page=onhbond#loading

 

국민주택채권 ( 국민주택채권 )

고객부담률14.4232% (2023.09.22 기준)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01월 02월 03월 04월 05월 06월 07월 08월 09월 10월 11월 12월 조회

okbfex.kbstar.com

 

국민주택채권매입시에서는 검색창에 국민주택채권 입력 후 찾기를 클릭, 국민주택채권 매입을 클릭 합니다.

 

사전에 준비해 놓은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한 후 국민주택채권을 매일할 계좌 입력 후 클릭버튼을 누릅니다.

 

 

매입용도를 부동산 등기로 선택 후 매입대상금액계산을 확인합니다.

 

바로 이때 우리가 메모해 놓은 공동주택공시가격에서 확인한 시가표준액을 입력 후 조회를 클릭하면 드디어 우리가 매입해야할 국민주택채권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국민주택채권매입확인증 출력 및 채권발행번호 확인

 

 매입금액을 확인 후 결제를 진행하면, 사전에 입력한 전화번호로 매입결과 및 채권발행번호가 전송됩니다. 이때 전송된 채권발행번호를 잘 간직하시고 계셨다가, 향후 등기 진행시 등기신청서에 넣어 주시고, 국민주택채권매입확인증을 출력하여 등기소 제출 서류로 준비하시면 됩니다. 

 

드디어 끝났습니다. 내용은 길어보이지만, 공인인증서만 준비되어 있다면 집에서 5~10분 정도면 준비하실수 있습니다. 다시한번 정리하면 국민주택채권매입확인증 발급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국민주택채권매입확인증 발급순서 

1. 주택도시기금에서 매입할 아파트의 공동주택공시가격 열람

--> 매입할 아파트의 가격에 따라 채권 금액이 달라짐

--> KB부동산, 부동산114등의 시세와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주택도시기금에서 열람해야함

 

2. 은행사이트 방문해 국민주택채권 매입 후 즉시 판매

--> 채권을 보유 후 이득을 보는 경우도 있지만, 그 돈으로 나스닥 S&P500을 매입하는 것이 시간 대비 훨씬 효율적임

 

3. 국민주택채권매입확인증 출력 및 채권발행번호 확인

 


오늘도 돈을 안쓰기위해 고생 많으셨습니다. 황박사의 정보연구소는 다음에는 좀 더 효율적으로 돈 안쓰는 정보를 준비해오겠습니다. 

 

정보커뮤니케이터 황박사는 정보를 사랑하고 연구하는 사람입니다.

 

Linkedin: https://kr.linkedin.com/in/chuljin-hwan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