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넘쳐나는 정보의 호수 속에서 돈 되는 정책 정보만을 모아서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낼수 있는 방법을 알려 드리는 황박사의 정보연구소입니다. 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정부 각처에서는 청년 분들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지원 정책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인건비는 물론이고, 창작활동비, 자격증 시험 응시료, 수강료 심지어 문화활동비도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정책은 지원 금액이 제한이 있고, 조건이 생각보다 까다롭기 때문에 많은 청년 분들이 지원조차 안하고 있습니다. 황박사의 정보연구소는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금융위원회 등의 정책 정보를 발빠르게 모아 제공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만 19~34년 청년이 중장기 목독을 형성할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자산증식 목적의 금융 상품입니다.
지원대상 (청년)
-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군 경력자는 복무기간에 비례하여 참여제한 연령을 연동 적용 / 최고 만 39세로 한정)
- 개인소득 :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 7.5천만원 이하
(단, 6,000만원 초과 7,500만원 이하인 경우 비과세만 적용)
- 이자소득 및 배당 소득이 2천만원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인 경우
청년도약계좌혜택
1. 개인 납임금에 정부 기여금을 더해 줍니다. 소득에 따라 차등지급되며 급여가 2,400만원 이하인 경우 최대 6%까지 이율를 확보 할 수 있고, 월 최대 2.4만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이자 소득에 대해 비과세를 적용하기 때문에 15.4% 혜택 역시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김청년"씨와 함께 5년동안 저축금액과 최종 수령금액을 시뮬레이션 해보겠습니다.
김청년씨는 올해 23살로 연봉 2,200만원을 받으며 근무를 하고 있던 중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5년 동안 매월 70만원을 저축 시 최종 수령금액을 계산해보려고 합니다. 무려 5년동안 약 7,800,000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예적금과 비교시 비과세 혜택으로 인해 1,200,000원의 절세 효과도 얻을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 만기가 5년이기 때문에 돈이 묶여버리는 상황이 만들어 지며, 또한 매년 개인 소득 유지를 해야합니다.
- 하지만 방법은 언제나 있습니다. 만약 중도 해지를 하는 경우라도 특별중도해지 요건에 해당된다면, 정부기여금과 비과세혜택을 모두 챙겨갈 수 있습니다.
특별중도해지요건
1. 가입자의 사망 / 해외 이주, 퇴직, 폐업, 천재지변, 장기 치료가 필요한 질병
2.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매하는 경우
3~4년 후에 최초 주택을 구매하려는 계획이 있다면, 우선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해서 기여금 및 이자를 모두 받으시고, 해지를 하시면 은행 예적금으로 자금을 넣어놓는 것보다 훨씬 큰 소득을 확보 할 수 있습니다.
- 만약 특별중도해지요건을 만족하지 못한 상황에서 해지를 하게 된다면 중도해지이율을 적용받게 됩니다. 이는 가입기간에 따라 다르며 아래 표에 기간별로 중도해지이율을 정리해 드립니다.
감사드리며 오늘도 수고많으셨습니다.
황박사의 정보연구소는 좀 더 효율적으로 돈버는 정책 정보를 발빠르게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돈 버는 정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혜택 분석 (0) | 2023.10.31 |
---|---|
연말 지출을 대비한 초단기 한달적금 (최대 8% 이율 확보) (4) | 2023.10.26 |
기회사다리금융 지금 신청하세요 (10/20~29) (0) | 2023.10.24 |
교보문고 베스트셀러들을 무료로 볼 수 있는 전자도서관 사용법 (2) | 2023.10.20 |
청년내일채움공제 핵심정리 (사업소개, 지원대상, 지원내용) (2) | 2023.10.16 |